국제평가관계 - 구매력평가설
investments study/FX practice2009. 9. 24. 14:42
구매력평가(purchaseing power parity, PPP)란 국제상품거래에서 물가와 환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환율결정의 측면에서 보자면 통화의 상호 교환가치인 환율은 이종통화 사이에 구매력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 구매력평가설이다.
구매력평가설은 절대적 구매력평가absolute PPP와 상대적 구매력평가relative PPP로 구성된다.
먼저 절대적 구매력평가는 일물일가의 법칙에 기반한다. 운송비용이나 무역장벽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했을 때, 두 나라에서 팔리는 동일 재화의 가치는 서로 동일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때 두 나라의 통화 사이의 가치 관계는 재화에 대한 구매력이 동일해지도록 결정될 것이다.
즉, 환율 직접표시에서는
환율S × 외국통화표시가격P' = 국내통화표시가격P
이 된다.
이를 정리하면 SP'/P = 1이다.
구매력평가설은 S, P, P'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자체로는 물가가 환율을 결정하는지 아니면 환율이 물가를 결정하는지와 같은 인과 문제를 설명하지는 못한다.
실증적으로 P=SP' 관계가 현실과 잘 부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 이유로는, 첫째 각국에서 물가 계산할 때 모든 재화를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품목들만을 표본으로 하여 물가를 추정한다는 점,
둘째 설사 경제 내에 존재하는 모든 품목을 고려해 물가를 계산하였을지라도 나라마다 존재하는 재화의 종류가 다를 수 있고, 같은 재화라 하더라도 나라마다 활용정도가 다르면 물가계산에서 적용될 가중치가 달라진다는 점,
셋째 구매력평가설의 가정과 다르게 현실에서는 무역장벽과 수송비용이 존재하여 일부 재화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비교역재가 존재하게 된다는 점,
넷째 재화시장의 구조가 독과점시장인 경우 생산자들이 이윤극대화를 위하여 나라마다 가격차별 정책을 시행하면 일물일가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게 된다는 점 등이 있다.
PPP의 대표적 예로 거론되는 빅맥지수의 경우에도
나라마다 맥도널드가 판매하는 빅맥의 상품형태는 대체로 유사할 것이나 재료나 중량 등이 완전하게 동일한 상품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쇠고기 빵 등 원재료의 원산지도 다를 것이고 건물임대료 인건비 세율 등 간접비용에 들어가는 여러 여건들도 다를 것이다. 이런 점에서 빅맥지수는 현실의 환율관계를 높은 수준에서 설명하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PP 내지 빅맥지수 연구는 유용한 함의를 제공한다. 가장 핵심적인 것은 물가보다 명목환율의 변동이 실질환율의 변동을 주도한다는 실증적 결과이다.
아무튼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동일한 재화라 하더라도 국가 간에 가격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나고 또 그와 같은 가격차이가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 즉 절대적 구매력평가는 제대로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실증적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하지만, 그런 가격차이가 현저하게 지속되는 경우에도 두 나라 사이의 물가상승률과 환율변동률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처럼 현실적으로 P와 SP'의 절대수치가 같지는 않더라도 일정한 관계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를 상대적 구매력평가라고 한다. 즉, 위의 SP'/P = 1이 아니지만 SP'/P = 상수...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이다.
P = SP'에서 S = P/P' 를 미분하면,
환율변화율 = 자국 인플레이션 - 상대국 인플레이션 = 양국 인플레 차이
가 된다.
여기에 로그를 취하여
예상환율변화율 = 양국 예상인플레 차이
를 도출할 수도 있는데 이를 사전적 상대적 구매력평가ex-ante relative PPP라고 한다.
상대적 구매력평가는 절대적 구매력평가의 단순한 보완으로 제시되는 것은 아니다. 고전학파의 통화중립성을 상기하자면, 통화량이 증가하더라도 물가나 명목환율 등 모든 명목변수들이 비례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실질변수는 아무런 변화가 없게 된다. 오늘날에도 최소한 명목적 교란요인nominal shock에 대해서는 상대적 구매력평가가 성립할 것이라는 견해가 많은 지지를 받는다.
이런 견해는 60년대까지만 해도 실증적으로 많은 뒷받침을 받았다. 특히 1차대전 후 독일과 같이 하이퍼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통화가치 급락으로 환율도 급등하여 물가수준과 환율 사이에 상관관계가 크게 나타났다. 하지만 70년대 이후로는 물가와 환율 사이의 안정적인 관계가 크게 흐트러지고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으로는 절대적 구매력평가의 문제점들과 더불어 70년대 이후 실질적 교란real shock이 상당부분 발생했다는 것이 거론된다.
실질적 교란이 나타나는 양태는 상대적 구매력평가의 문제점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나 실질환율의 표현에 승수가 사용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수식의 가공을 생략하고 실질적 교란의 양태만을 간단히 살펴보면,
첫째 자국 교역재와 상대국 교역재 간 가격상승율 차이가 크면 자국의 실질환율이 크게 변할 수 있다(예 - 석유파동 때 산유국들의 실질환율 하락 내지 실질절상, dutch disease).
둘째 교역재 간에 절대적 구매력평가가 성립한다 하더라도 국내에서 수요가 비교역재 특히 부동산 등에 몰리는 경우 실질환율이 하락할 수 있다(예 - 80년대 말 한국 주택가격이 급등하면서 실질환율 하락 내지 실질절상).
셋째 교역재와 비교역재 막론하고 자국 수요가 전반적으로 증가하면 실질절상이 초래될 수 있다. 이는 교역재와 비교역재의 차이 때문인데, 교역재시장의 초과수요는 수입으로 웬만큼 충당할 수 있기 때문에 가격상승압력이 비교역재보다 덜한 반면, 비교역재의 경우는 초과수요가 직접 가격상승으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전반적인 수요증가가 나타나면 교역재 가격이 비교역재 가격보다 덜 상승하게 되고 따라서 실질환율은 하락하고 자국통화의 실질가치는 상승한다. 다시 말해, 총수요팽창으로 인한 경기상승시에는 비교역재 수요가 특별히 팽창하지 않더라도 실질절상이 나타날 수 있다.
넷째 수출산업 장려로 자국 교역재부문에서 생산성 향상이 촉진되면 그 직접적 결과로 자국의 교역재가격이 하락한다. 이때 비교역재 가격은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결국 실질환율이 하락한다. 장기적으로는 생산성 향상이 교역재부문과 비교역재부문 사이에 보수 차이를 발생시켜 생산요소들이 상대적으로 보수가 좋은 교역재부문으로 이동함으로써 비교역재 생산이 더 어려워지고 이는 결국 비교역재 가격상승을 부추겨 실질환율 하락을 더 촉진한다. 이와 같은 교역재부문 생산성향상 문제는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의 물가수준 차이가 나타나게 되는 이유를 논할 때에도 중요한 관점을 제공한다. 산업발전과 성장 과정에서 교역재부문이 비교역재부문보다 상대적으로 급속하게 생산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다섯째 현실적으로 재화가격은 시장이론에 비해 상당히 경직적이다. 따라서 명목환율이 변할 때마다 실질환율이 조금씩 변하게 된다. 73년 변동환율제가 시작된 이래 명목환율 변동성이 크게 증가하면서 실질적 교란요인이 증가했다는 설명이 가능하다.
'investments study > FX pract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평가관계 - 이자율평가 (1) | 2009.09.25 |
---|---|
정책대응과 환율 (0) | 2009.09.24 |
매입헤지와 매도헤지 (0) | 2009.09.17 |
NDF (차액결제선물환) 거래시 결제금액 (0) | 2009.09.17 |
혼동하기 쉬운 개념들 - 스프레드, 스왑레이트, 베이시스 (0) | 2009.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