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의 공급
중앙은행이 공급하는 본원통화monetary base, 일반은행들의 지급준비율, 비은행 민간부문의 현금보유비율 이렇게 3가지가 신용창조과정에서의 통화승수를 결정한다.
먼저 본원통화는 "민간보유현금 + 은행의 지급준비금"으로 정의된다.
이 본원통화는 민간 또는 은행의 자산이면서 중앙은행에게는 통화성 부채가 된다.
부채이므로 자산과 대응하여 변동하고 따라서 중앙은행의 자산 변동에 의해 본원통화는 영향을 받는다. 중앙은행의 자산은 은행들에 대한 대출, 상업어음 재할인, 정부에 대한 대출, 외환보유고 등으로 구성된다.
흔히 화폐공급은 통화정책에 의해 주어지는 외생변수로 보지만, 중앙은행의 자산변동에 의해 부채인 본원통화의 변동이 수반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현상을 본원통화 공급의 내생성이라고 한다. 즉, 본원통화 공급이 외생적으로 주어지지 않고 경제 내부에서 결정되는 속성을 가진다는 의미이다.
본원통화가 내생적으로 결정된다면 중앙은행은 통화량을 의도대로 통제할 수 없게 되나, 중앙은행은 공개시장조작 / 재할인율 / 지준율 등의 정책수단을 통해 화폐공급을 직간접적으로 통제한다.
이중 공개시장조작과 재할인율 정책은 은행과의 거래를 통해 본원통화에 영향을 주는 것이고, 지준율 정책은 은행의 포트폴리오를 직접 규제하여 통화승수에 영향을 준다.
본원통화 공급의 외생성 내지 내생성 여부는 이러한 정책들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본원통화의 내생적 변동요인들을 상쇄시킬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
통화승수를 결정하는 나머지 두 요인을 생각해보자.
본원통화 공급이 외생적으로 결정되더라도 지준율과 현금보유비율이 경제 내부요인에 의해 변화한다면 화폐공급이 내생적이라고 해석할 수 있게 된다.
지준율과 현금보유비율은 이자율과 관련이 깊다.
이자율이 상승하면 예금 인센티브가 커지므로 현금보유는 낮아진다. 따라서 현금보유비율은 이자율의 감소함수이다.
또 이자율이 상승하면 은행들이 초과지급준비금excess reserve을 보유하는데 따르는 기회비용이 커지므로 초과지준금이 감소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지준율도 역시 이자율의 감소함수라 할 수 있다.
현금보유비율과 지급준비율은 모두 통화승수를 감소시키는 요인, 즉 화폐공급을 감소시키는 요인이다. 따라서 이 둘이 이자율의 감소함수라면 결국 화폐공급은 이자율의 증가함수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이자율은 내생변수이므로 전체 화폐공급 역시 내생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실증적으로 화폐공급은 장기적으로는 본원통화와, 단기적으로는 지준율 및 현금보유비율과 상관성이 높다.
신용창조 과정을 간단한 수식으로 생각해보면,
현금보유가 0일 때 신용창조가 일어나는 최초 금액은 본원통화이다.
본원통화를 H라고 하고, 지금준비율을 q라고 한다면
지급준비금을 제외한 본원통화, H(1-q)는 대출되어 신용을 창조하고
이것이 다시 저축과 재차 대출을 통해 H(1-q)(1-q)만큼 신용을 창조한다.
이러한 과정이 끊임없이 반복된다.
이때 전체 통화량은 초항이 H이고 공비가 (1-q)인 등비수열의 합계이다.
따라서 통화공급 Ms = H / [1- (1-q)] = H / q 이 된다.
여기에서 통화승수는 1/q 이다.
만약 현금보유가 존재하고 통화량이 M, 현금보유가 C라 하면,
본원통화 H = 민간보유현금 + 은행 준비금
이라는 정의에 따라
H = C + q(M - C) 가 된다.
현금보유비율c는 통화량 중에서 현금으로 보유한 비율이므로
c = C / M 에서 C = cM
이를 위 식에 대입하면
H = cM + q(M - cM) = M [c + q - cq] = M [c + q(1-c)]
이를 통화량 M에 대해 정리하면
M = H / [c + q(1-c)]
이는 곧 화폐공급인 셈이고 여기서 통화승수는 1/[c + q(1-c)] 이다.
만약 화폐공급의 내생성이 크다고 하면,
예를 들어 초과지금준비금이 유의한 수준이라면
M = 통화승수 × (본원통화 - 초과지준금)
= 1/[c + q(1-c)] × (H - ER)
이 될 것이다.
여기에서 초과지급준비금 ER은
은행의 최적 포트폴리오 구성의 결과이며 이자율에 의존하여 결정된다.
(내생성 부분 상기..)
이때 내생성만큼 통화정책의 효과는 떨어질 것이다.
'shoulders of giants > econ concep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동성함정 (0) | 2009.09.28 |
---|---|
국제 자본이동의 양태 (0) | 2009.09.28 |
crowding effect (0) | 2009.09.24 |
화폐수요이론 - 신화폐수량설 (0) | 2009.09.16 |
화폐수요이론 - 토빈의 자산선택모형 (1) | 2009.09.10 |
유동성함정
경제위기로 소위 투기적 화폐수요가 큰 상태에서는 통화공급을 늘리더라도 공급된 통화가 높은 수준의 화폐수요에 거의 흡수되어 통화팽창정책의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게 된다.
특정 상황에서 화폐수요가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상황은 금융위기로 인하여 이자율이 극도로 낮아질 때 발생한다.
이자율이 매우 낮은 상태에서는 이자율이 과거의 평균 수준으로 회귀할 것이 예상된다. 즉, 머지 않은 미래에 이자율이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이자율 상승이 예상되면 채권의 자본손실이 이자수익을 상회하거나 거의 잠식하게 되고, 따라서 투자자들은 채권을 보유하는 대신 자금의 대부분을 화폐로 보유할 인센티브를 갖게 된다.
이렇게 화폐수요가 증대된 상황에서 이자율 변동성이 커져 금융시장의 단기투기심리까지 가세할 경우 통화정책의 결과는 더더욱 예측불가능한 것이 되고 만다.
'shoulders of giants > econ concep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폐의 공급 (0) | 2009.09.29 |
---|---|
국제 자본이동의 양태 (0) | 2009.09.28 |
crowding effect (0) | 2009.09.24 |
화폐수요이론 - 신화폐수량설 (0) | 2009.09.16 |
화폐수요이론 - 토빈의 자산선택모형 (1) | 2009.09.10 |
국제 자본이동의 양태
국제 자본이동은 크게 공적 차원의 이동과 민간 차원의 이동으로 나누어진다. 공적 이동public flows은 정부간에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의 정부로 자본을 이전시키는 것이다. 여기에는 한 정부가 다른 국가에 원조나 차관을 제공하는 쌍무적 형태가 있고, IMF 세계은행 ADB IADB 등의 다국적 기구를 거치는 다자간 이동이 있다.
민간 이동private flows에는 크게 세 가지 형태가 있다. 외국은행 대출, 포트폴리오투자PI, 외국인 직접투자FDI 등이 그것이다. 외국은행 대출은 국제수지표 상에서 주로 '기타투자수지'부분을 구성하는데, 해외 상업은행이나 다국적 기구가 특정 국가의 공공기관 또는 민간부문에 직접 대출하는 것을 말한다.
PI는 특정국가의 비거주자가 해당 국가의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 금융상품에 투자하는 것이다. 국제수지표상의 '포트폴리오투자수지'와 '파생상품투자수지'를 구성한다. 채권의 경우 정부가 발행한 채권도 여기에 포함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FDI는 특정국가의 비거주자가 해당국 기업의 '지배지분'controlling interest을 인수하는 것이다. 지배지분의 기준은 국제회계관행과 각국의 기준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피투자기업의 자산 10% 이상이면 지배지분으로 본다. 하지만 학술목적으로는 IFRS의 intercorporate investment 기준을 참고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FDI는 신규투자greenfield investment와 기존기업에 대한 투자 내지 인수합병brownfield investment이 있다. 기업에 대한 투자 이외에 비거주자의 해당국 부동산 투자도 FDI로 분류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shoulders of giants > econ concep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폐의 공급 (0) | 2009.09.29 |
---|---|
유동성함정 (0) | 2009.09.28 |
crowding effect (0) | 2009.09.24 |
화폐수요이론 - 신화폐수량설 (0) | 2009.09.16 |
화폐수요이론 - 토빈의 자산선택모형 (1) | 2009.09.10 |
국제평가관계 - 이자율평가
이자율평가(interest rate parity, IRP)는 상품시장의 일물일가의 법칙을 금융시장에 적용한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쉽게 말해서 국가간 자본이동에 제약이 없고 country risk가 없다는 전제 하에, 동일한 투자안에 대해서는 기대수익율이 동일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제평가관계를 다루는 대부분의 교과서들은
투자자가 국내통화표시 채권에 투자할 것인지 또는 외국통화표시 채권에 투자할 것인지 결정해야 하는 상황을 상정하고
이때 국내채권에는 국내이자율, 외국채권에는 해당국이자율이 적용되면
각각 이자율을 적용한 기대수익율이 동일해지도록 환율이 결정된다는 방식으로 이자율평가를 설명한다.
이때 채권 투자안의 기대수익은 일정기간 후에 받을 이자이며 해당 기간 동안의 환변동위험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무위험이자율평가CIRP와 유위험이자율평가UIRP로 구분한다.
여기서 CIRP는 환변동위험을 최초 채권투자시에 선물환 계약으로 헤지하는 투자안을 가정하는 것이며, 헤지가 되었다는 의미에서 covered IRP라고 하는 것이다.
CIRP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서두의 설명과 같이 원화표시 채권(국내통화표시 채권)에 투자할 때의 기대수익률과 달러표시 채권(외국통화표시 채권)에 투자할 때의 기대수익률이 동일해야 한다.
국내의 명목이자율이 r, 미국의 명목이자율이 r'라고 하면
(엄밀히 말하면 국내 채권의 금리가 r, 달러 채권의 금리가 r')
1원을 만기 1년짜리 국내채권에 투자할 때 1년 후에 (1+r)원을 받게 된다.
이때 1원을 만기 1년 달러채권에 투자할 때 기대수익률이 동일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1원을 현재의 환율 S로 달러 환산하면 1/S 달러가 되는데
1/S 달러만큼 달러채권에 투자하여 1년 후 받을 금액은
1/S × (1+r') = (1+r')/S 가 된다.
국내채권에 투자할 때와 달러채권에 투자할 때 수익률이 동일하도록 환율이 결정되어야 하므로
여기서 1년 후 시점의 받을 금액인 (1+r) 원과 (1+r')/S 달러가 동일해지도록 환율이 결정된다는 것이 IRP의 논리이다.
그런데 1년 후 받을 금액이 각각 원화와 달러화로 단위가 다르므로 이를 다시 환율로 바꾸어주어야 한다.
하지만 1년 후 시점의 현물환율은 현재 시점에서는 미리 알 수 없으므로 투자수익 비교가 불확실해진다.
이 불확실성은 1년 동안의 환율변동으로부터 발생하는 환율변동위험 때문이며 이 불확실성을 투자 초기의 선물환 계약으로 제거한다고 가정하는 것이 무위험이자율평가CIRP(covered IRP)이다.
즉, 투자 초기에 1년 후 1달러당 F의 환율로 달러화를 매도하고 원화를 지급받기로 선물환 매도계약을 체결하여 환변동위험을 제거하면,
1년 후의 달러채권 투자 원리금은 (1+r')/S × F = (1+r')F / S 원이 된다.
이 원화 금액은 환위험이 제거되었으므로 무위험 외환수익이라고 할 수 있고, 선물환율F와 현물환율S는 모두 현재시점의 현선물환율이다.
이렇게 환산한 수익이 (1+r)원과 동일하도록 현선물환율이 결정된다는 것이 CIRP의 결론이다.
(1+r) = (1+r') F/S 또는 F = S × (1+r)/(1+r')
이와 같이 현선물환율과 양국 이자율 사이의 균형관계가 CIRP이다.
만약 현선물환율을 이용해 계산한 국내채권 투자와 달러채권 투자의 기대수익율이 서로 다르다면 투자자는 무위험차익거래 기회를 얻게 된다. 이때 차익거래가 이루어지면서 양쪽의 기대수익률이 다시 같아질 것이며 이러한 메커니즘으로 이자율평가가 유지된다고 한다.
위 균형식에서 (1+r)/(1+r') 는 근사값으로 (1 + r - r') 로 표현할 수 있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F/S = 1+ r - r'
F/S - 1 = r - r'
r - r' = (F - S)/S 가 된다.
여기서 우변은 선물환율의 현물환율에 대한 이탈 정도를 나타내는 선물환할증(FP, forward premium)이다.
즉, 양국의 금리차이는 선물환할증/할인으로 나타나게 되며
자국 이자율이 더 높은 만큼 FP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론상으로는 금리차이와 FP(%)가 거의 같게 나타나야 하지만
현실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로 표현한 선물환할증 즉 FP(%)와 양국 금리차이를 비교하여 어느 쪽 채권에 투자하는 것이 더 유리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CIRP는 국가간에 자본이동이 완전히 자유로운 것을 전제로 하므로 IRP성립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려면 각종 리스크와 만기 등이 동일한 금융자산을 선택하여 거래비용을 사전적으로 정확하게 계산하여야 한다.
이를 대체로 만족시키는 유로커런시시장에서는 CIRP가 대체로 성립한다. 하지만 단기금융상품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CIRP에 위배되는 경우가 더 많게 나온다. 장기채권의 경우에는 이자율평가가 잘 성립하지 않는다.
CIRP가 제대로 성립하지 않는다면 그 이유로는 무엇보다 국가간 자본이동이 불완전하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겠지만, 다른 이유에 대한 설명도 가능하다.
자산몰수, 자산동결, 외환통제, 여타 규제가능성 등 개별 국가의 정치적 위험과 더불어 국가간 조세제도의 차이 때문에 CIRP가 제대로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외환시장에서 오버슈팅이 두드러지게 되면 선물환율이 CIRP에 따른 선물환할증과 전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97년 외환위기 때처럼 누구나 오버슈팅임을 인지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금리차이로 계산한 FP가 양의 값을 같더라도 비정상적으로 높게 형성된 현물환율이 단기간 내에 급락할 것이 예상된다면 선물환율이 현물환율보다 오히려 낮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CIRP의 현격한 위배가 나타나면 고수익의 차익거래기회가 발생하는데, 위와 같은 상황에서 달러화 조달이 가능하기만 하다면 금리차이에 의한 수익과 더불어 선물환할인에 의한 무위험 고수익이 가능해진다.
-----------------
CIRP에 대해 유위험이자율평가UIRP(uncovered IRP)는
두 국가 간 금융자산이 완전대체적일 때, 동일 통화로 표시한 양국 금융자산은 동일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투자 기대수익률도 같아지게 된다는 것이다. 국제피셔효과(int'l Fisher effect)라고도 한다.
CIRP가 선물환으로 헤지된 투자안과의 비교를 통해 이자율평가를 설명함으로써 선물환율과 현물환율 그리고 양국 금리 차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었다면,
UIRP는 1년 동안의 환변동위험을 그대로 두고 1년 후 시점의 기대환율로 달러채권의 원리금을 원화환산했을 때 기대수익율이 같아야 한다고 설명함으로써 기대환율과 현재환율 그리고 양국 금리 차이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즉, 기대환율을 E라 할 때
1 + r = E/S × (1 + r') 가 된다. 이것은 CIRP에서 F 대신 E로 치환한 셈이다.
CIRP에서와 마찬가지로 근사값으로 표현하면
r - r' = (E - S)/S
가 되는데,
여기에서 우변은 기대환율변동율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양국 금리차이는 기대환율변동율이라는 것이다.
CIRP와 UIRP가 동시에 성립하려면 F = E 가 성립하여야 한다.
이를 선물환평가forward parity라고 한다.
선물환평가는 쉽게 말해서
선물환율이 미래 시점의 현물환율에 대한 불편예측치unbiased estimator라는 것이다.
그런데 CIRP는 성립하는데 UIRP가 성립하지 않는다면 환위험할증(또는 할인)이 발생하게 된다. 즉, 미래 환율이 선물환율을 벗어나게 되면 이를 환위험할증이라고 하는데 이때 투자자들은 선물환율보다 미래의 환율이 더 낮아질 것이라고 예상하고 투기거래를 할 것이다.
실증적으로 UIRP는 대체로 성립하지 않는데
쉽게 말해 국내외 금리 차이와 예상환율변화율 사이에 괴리가 자주 발생한다는 것인데,
이는 투자자들이 미래환율에 대해 선물환율을 벗어날 것으로 예상하는 환위험할증이 자주 나타난다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
CIRP와 UIRP 외에도 실질이자율평가RIRP(real IRP)가 있다.
이는 국가간 실질금리가 동일해진다는 것으로, UIRP와 상대적 구매력평가가 동시에 만족될 경우 성립하게 된다.
relative PPP에서 로그를 취하면
예상환율변동률 = 예상인플레이션 차이
가 된다고 하였다.
(이때 예상인플레 차이는 국내예상인플레 - 상대국예상인플레..이다.)
이것을 UIRP와 연립하면
r - r' = 자국예상인플레이션 - 상대국예상인플레이션
즉, 금리차이 = 예상인플레 차이...가 된다.
위 관계식에서
r - 자국예상인플레 = r' - 상대국예상인플레
여기에서 r과 r'는 각각 명목금리인데
좌우변 공히 명목금리에서 예상인플레를 빼주었으므로 이는 실질금리가 된다.
즉, 국내실질금리 = 상대국실질금리...인 것이다.
그래서 RIRP실질이자율평가라고 한다.
RIRP에 따르면 국가간 자본이동은 실질금리의 차이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이는 자본의 국가간 이동성이 완전하게 자유롭다는 전제에 기반한다.
RIRP가 성립하면 국가간 명목금리 차이는 피셔효과Fisher effect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피셔효과는 명목금리가 실질금리와 예상인플레를 반영하고 있다는 이론이다. 즉, 명목금리를 r, 실질금리를 R이라 할 때
1 + r = (1 + R)(1 + 예상인플레)
여기에서
r ≒ R + 예상인플레
가 도출된다.
RIRP에 의하면 자본의 이동이 자유로울 때 국가간 실질금리는 동일하게 되고, 피셔효과에 의해 명목금리는 (실질금리 + 예상인플레) 가 된다.
RIRP에서 실질금리가 동일하다고 하였으므로
국가간 명목금리 차이는 예상인플레이션 차이 때문에 발생하게 된다는 결론에 이른다.
RIRP는 실증적으로는 잘 성립하지 않으나 국제평가관계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의의가 있다.
'investments study > FX pract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평가관계 - 구매력평가설 (1) | 2009.09.24 |
---|---|
정책대응과 환율 (0) | 2009.09.24 |
매입헤지와 매도헤지 (0) | 2009.09.17 |
NDF (차액결제선물환) 거래시 결제금액 (0) | 2009.09.17 |
혼동하기 쉬운 개념들 - 스프레드, 스왑레이트, 베이시스 (0) | 2009.09.07 |
국제평가관계 - 구매력평가설
구매력평가(purchaseing power parity, PPP)란 국제상품거래에서 물가와 환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환율결정의 측면에서 보자면 통화의 상호 교환가치인 환율은 이종통화 사이에 구매력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 구매력평가설이다.
구매력평가설은 절대적 구매력평가absolute PPP와 상대적 구매력평가relative PPP로 구성된다.
먼저 절대적 구매력평가는 일물일가의 법칙에 기반한다. 운송비용이나 무역장벽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했을 때, 두 나라에서 팔리는 동일 재화의 가치는 서로 동일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때 두 나라의 통화 사이의 가치 관계는 재화에 대한 구매력이 동일해지도록 결정될 것이다.
즉, 환율 직접표시에서는
환율S × 외국통화표시가격P' = 국내통화표시가격P
이 된다.
이를 정리하면 SP'/P = 1이다.
구매력평가설은 S, P, P'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자체로는 물가가 환율을 결정하는지 아니면 환율이 물가를 결정하는지와 같은 인과 문제를 설명하지는 못한다.
실증적으로 P=SP' 관계가 현실과 잘 부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 이유로는, 첫째 각국에서 물가 계산할 때 모든 재화를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품목들만을 표본으로 하여 물가를 추정한다는 점,
둘째 설사 경제 내에 존재하는 모든 품목을 고려해 물가를 계산하였을지라도 나라마다 존재하는 재화의 종류가 다를 수 있고, 같은 재화라 하더라도 나라마다 활용정도가 다르면 물가계산에서 적용될 가중치가 달라진다는 점,
셋째 구매력평가설의 가정과 다르게 현실에서는 무역장벽과 수송비용이 존재하여 일부 재화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비교역재가 존재하게 된다는 점,
넷째 재화시장의 구조가 독과점시장인 경우 생산자들이 이윤극대화를 위하여 나라마다 가격차별 정책을 시행하면 일물일가의 법칙이 성립하지 않게 된다는 점 등이 있다.
PPP의 대표적 예로 거론되는 빅맥지수의 경우에도
나라마다 맥도널드가 판매하는 빅맥의 상품형태는 대체로 유사할 것이나 재료나 중량 등이 완전하게 동일한 상품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쇠고기 빵 등 원재료의 원산지도 다를 것이고 건물임대료 인건비 세율 등 간접비용에 들어가는 여러 여건들도 다를 것이다. 이런 점에서 빅맥지수는 현실의 환율관계를 높은 수준에서 설명하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PP 내지 빅맥지수 연구는 유용한 함의를 제공한다. 가장 핵심적인 것은 물가보다 명목환율의 변동이 실질환율의 변동을 주도한다는 실증적 결과이다.
아무튼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동일한 재화라 하더라도 국가 간에 가격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나고 또 그와 같은 가격차이가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 즉 절대적 구매력평가는 제대로 성립하지 않을 수 있다. 실증적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하지만, 그런 가격차이가 현저하게 지속되는 경우에도 두 나라 사이의 물가상승률과 환율변동률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처럼 현실적으로 P와 SP'의 절대수치가 같지는 않더라도 일정한 관계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계를 상대적 구매력평가라고 한다. 즉, 위의 SP'/P = 1이 아니지만 SP'/P = 상수...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이다.
P = SP'에서 S = P/P' 를 미분하면,
환율변화율 = 자국 인플레이션 - 상대국 인플레이션 = 양국 인플레 차이
가 된다.
여기에 로그를 취하여
예상환율변화율 = 양국 예상인플레 차이
를 도출할 수도 있는데 이를 사전적 상대적 구매력평가ex-ante relative PPP라고 한다.
상대적 구매력평가는 절대적 구매력평가의 단순한 보완으로 제시되는 것은 아니다. 고전학파의 통화중립성을 상기하자면, 통화량이 증가하더라도 물가나 명목환율 등 모든 명목변수들이 비례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실질변수는 아무런 변화가 없게 된다. 오늘날에도 최소한 명목적 교란요인nominal shock에 대해서는 상대적 구매력평가가 성립할 것이라는 견해가 많은 지지를 받는다.
이런 견해는 60년대까지만 해도 실증적으로 많은 뒷받침을 받았다. 특히 1차대전 후 독일과 같이 하이퍼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통화가치 급락으로 환율도 급등하여 물가수준과 환율 사이에 상관관계가 크게 나타났다. 하지만 70년대 이후로는 물가와 환율 사이의 안정적인 관계가 크게 흐트러지고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으로는 절대적 구매력평가의 문제점들과 더불어 70년대 이후 실질적 교란real shock이 상당부분 발생했다는 것이 거론된다.
실질적 교란이 나타나는 양태는 상대적 구매력평가의 문제점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나 실질환율의 표현에 승수가 사용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수식의 가공을 생략하고 실질적 교란의 양태만을 간단히 살펴보면,
첫째 자국 교역재와 상대국 교역재 간 가격상승율 차이가 크면 자국의 실질환율이 크게 변할 수 있다(예 - 석유파동 때 산유국들의 실질환율 하락 내지 실질절상, dutch disease).
둘째 교역재 간에 절대적 구매력평가가 성립한다 하더라도 국내에서 수요가 비교역재 특히 부동산 등에 몰리는 경우 실질환율이 하락할 수 있다(예 - 80년대 말 한국 주택가격이 급등하면서 실질환율 하락 내지 실질절상).
셋째 교역재와 비교역재 막론하고 자국 수요가 전반적으로 증가하면 실질절상이 초래될 수 있다. 이는 교역재와 비교역재의 차이 때문인데, 교역재시장의 초과수요는 수입으로 웬만큼 충당할 수 있기 때문에 가격상승압력이 비교역재보다 덜한 반면, 비교역재의 경우는 초과수요가 직접 가격상승으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전반적인 수요증가가 나타나면 교역재 가격이 비교역재 가격보다 덜 상승하게 되고 따라서 실질환율은 하락하고 자국통화의 실질가치는 상승한다. 다시 말해, 총수요팽창으로 인한 경기상승시에는 비교역재 수요가 특별히 팽창하지 않더라도 실질절상이 나타날 수 있다.
넷째 수출산업 장려로 자국 교역재부문에서 생산성 향상이 촉진되면 그 직접적 결과로 자국의 교역재가격이 하락한다. 이때 비교역재 가격은 큰 변화가 없을 것이므로 결국 실질환율이 하락한다. 장기적으로는 생산성 향상이 교역재부문과 비교역재부문 사이에 보수 차이를 발생시켜 생산요소들이 상대적으로 보수가 좋은 교역재부문으로 이동함으로써 비교역재 생산이 더 어려워지고 이는 결국 비교역재 가격상승을 부추겨 실질환율 하락을 더 촉진한다. 이와 같은 교역재부문 생산성향상 문제는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의 물가수준 차이가 나타나게 되는 이유를 논할 때에도 중요한 관점을 제공한다. 산업발전과 성장 과정에서 교역재부문이 비교역재부문보다 상대적으로 급속하게 생산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다섯째 현실적으로 재화가격은 시장이론에 비해 상당히 경직적이다. 따라서 명목환율이 변할 때마다 실질환율이 조금씩 변하게 된다. 73년 변동환율제가 시작된 이래 명목환율 변동성이 크게 증가하면서 실질적 교란요인이 증가했다는 설명이 가능하다.
'investments study > FX pract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평가관계 - 이자율평가 (1) | 2009.09.25 |
---|---|
정책대응과 환율 (0) | 2009.09.24 |
매입헤지와 매도헤지 (0) | 2009.09.17 |
NDF (차액결제선물환) 거래시 결제금액 (0) | 2009.09.17 |
혼동하기 쉬운 개념들 - 스프레드, 스왑레이트, 베이시스 (0) | 2009.09.07 |
crowding effect
구축효과는 여러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는 개념이나
가장 흔하게 인용되는 의미는
확장 재정정책으로 인한 투자감소 효과이다.
정부가 국내 총수요가 부족하여 잠재GDP에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하여 정부지출을 늘리게 되면 이는 이자율을 상승시킨다.
IS-LM모형을 떠올려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정부지출을 늘려 (Y,r)평면에서 IS가 우측으로 평행이동하면
균형점은 우상향한다. 따라서 Y와 r이 모두 증가한다.
그런데 여기서 이자율r이 증가하면
자본비용이 증가하므로 민간투자I가 감소한다.
다시 말해, 정부가 경기를 부양시키기 위해 지출을 늘렸는데
이것이 이자율을 상승시켜 민간투자를 구축하는 효과를
crowding effect라 한다.
'shoulders of giants > econ concep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동성함정 (0) | 2009.09.28 |
---|---|
국제 자본이동의 양태 (0) | 2009.09.28 |
화폐수요이론 - 신화폐수량설 (0) | 2009.09.16 |
화폐수요이론 - 토빈의 자산선택모형 (1) | 2009.09.10 |
화폐수요이론 - 보몰의 재고이론 (0) | 2009.09.10 |
정책대응과 환율
환율과 통화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워낙 다양하지만 여기에서는 다른 요인들을 무시하고 재정정책과 통화정책만을 고려하기로 한다.
일단 expansionary fiscal policy를 시행하는 경우이다.
확장 재정기조에는 여러가지 정책수단이 사용될 수 있지만 크게 정부지출 확대와 조세인하라고 해 두자.
조세를 낮추어주면 가처분소득이 늘어나 민간부문의 소비도 촉진된다.
정부지출 확대와 민간수요 증대가 총수요 AD의 증대로 나타나고,
이는 IS-LM모형, 즉 (Y,r)평면에서 IS곡선의 우측이동으로 표현된다.
LM은 그대로 있는데 IS만 우측으로 이동하므로
(Y,r)균형점은 LM곡선을 따라 우상향 이동한다.
즉 실질이자율이 상승한다.
이자율이 상승하게 되면 자본이동이 비교적 자유롭다는 전제 하에
자본의 국내유입이 촉진되고 이는 자국통화DC에 대한 절상appreciation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통화가치 절상효과는 단기 효과임에 주의해야 한다.
단기에 절상된 자국통화가치(=직접표시에서 환율하락)는 서서히 교역조건에 영향을 주어 수출감소 수입증가로 이어진다.
또 장기적으로는 실질GDP도 증가하게 되는데
(위 IS-LM모형에서 균형점이 우상향하게 되면 Y 역시 증가..)
이는 역시 소득수준 향상을 통해 수입증대를 촉진한다.
결국 어느쪽 경로이든 수입 증가는 장기적으로
자국통화 DC의 절하depreciation를 불러온다.
다음으로는 통화정책의 영향을 보자.
통화확장정책은 간단하게 이자율 인하로 통화공급을 늘린다고 생각한다.
정책금리를 내려 이자율이 낮아지면 자본이 유출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이는 DC depreciation을 야기한다.
그런데 IS-LM에서 LM이 우측이동하므로 균형점은 IS곡선을 따라 우하향하고, 즉 이자율 r은 낮아지지만 실질GDP Y는 증가한다.
따라서 장기에는 실질GDP증가로 수입이 증가하고 역시 DC depreciation을 야기한다.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경기하강시 재정정책을 사용할 때와 통화정책을 사용할 때의 효과가 차이가 있다는 점이다.
확장 재정정책을 시행하면 단기적으로는 통화절상효과가 나타나면서 경상수지 적자가 초래된다. 그러나 이는 단기적 효과이고 장기에는 실질GDP증가로부터 비롯된 통화절하가 나타나면서 경상수지 적자 효과는 없어질 것이다.
그러나 통화공급을 늘리게 되면 단기에도 통화절하로 인해 경상수지 흑자가 나타나고 장기에도 역시 통화절하효과가 나타난다.
현실적으로는 경기부양을 위해 복합적인 정책을 시행하는 경우가 많고 특히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이 통제되는 것도 아니므로 이러한 효과들 간의 상호관계를 제대로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investments study > FX pract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평가관계 - 이자율평가 (1) | 2009.09.25 |
---|---|
국제평가관계 - 구매력평가설 (1) | 2009.09.24 |
매입헤지와 매도헤지 (0) | 2009.09.17 |
NDF (차액결제선물환) 거래시 결제금액 (0) | 2009.09.17 |
혼동하기 쉬운 개념들 - 스프레드, 스왑레이트, 베이시스 (0) | 2009.09.07 |
매입헤지와 매도헤지
매입헤지는 선물매입 + 현물매도
매도헤지는 선물매도 + 현물매입
정상시장(F>S)에서 매입헤지했을 때에는
선물가격이 현물보다 높은 상태에서 선물매입 + 현물매도한 것이고,
만기가 가까울수록 F와 S가 서로 컨버전(수렴)
따라서 구매시의 베이시스(선현물 차이)만큼 손실이 나게 된다.
반대로 매도헤지했을 때에는 베이시스만큼 이익.
비정상시장(F<S) 에서 매입헤지했을 때에는 이익이 나고,
매도헤지시에는 손실이 난다.
이런 이익 손실 관계는 베이시스의 존재로 인한 것이기 때문에
리스크 헤지 목적으로 선물을 거래하는 '헤지거래'에서도
베이시스 위험은 여전히 존재한다.
즉 현실에서 거의 완전헤지가 되는 현선물 조합을 거래하더라도
(예를 들어 지수 100% 추종하는 ETF와 해당 지수선물의 조합..)
베이시스 위험은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investments study > FX pract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평가관계 - 구매력평가설 (1) | 2009.09.24 |
---|---|
정책대응과 환율 (0) | 2009.09.24 |
NDF (차액결제선물환) 거래시 결제금액 (0) | 2009.09.17 |
혼동하기 쉬운 개념들 - 스프레드, 스왑레이트, 베이시스 (0) | 2009.09.07 |
파생상품의 거래목적 (0) | 2009.09.07 |
NDF (차액결제선물환) 거래시 결제금액
결제금액 = (지정환율 - 기준환율)/지정환율 × 계약금액
여기에서 지정환율과 기준환율은 모두 원화표시 환율이나
분자 분모에서 단위가 각각 소거되고,
계약금액은 달러로 표시되므로
결국 NDF 결제금액은 달러 금액이다.
지정환율은 만기 1일 전에 지정되는 환율이다.
기준환율은 최초 계약하여 포지션 들어갈 때의 거래환율이다.
'investments study > FX pract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책대응과 환율 (0) | 2009.09.24 |
---|---|
매입헤지와 매도헤지 (0) | 2009.09.17 |
혼동하기 쉬운 개념들 - 스프레드, 스왑레이트, 베이시스 (0) | 2009.09.07 |
파생상품의 거래목적 (0) | 2009.09.07 |
환율의 고시방법 (0) | 2009.09.07 |
화폐수요이론 - 신화폐수량설
밀턴 프리드만의 신화폐수량설은 고전파의 화폐수량설과 케인즈의 유동성선호설을 종합하였다고 볼 수 있다.
고전적 화폐수량설에서는 V가 상수라고 가정하였는데 이 가정을
V가 상수가 아니라 이자율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바꾸면 유동성선호설과 연결할 수 있다.
프리드만은 사람들이 화폐를 수요하는 것은
다른 재화에 대한 수요와 마찬가지로 화폐로부터 효용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보고, 따라서 화폐수요는 화폐의 명목가치가 아닌 실질가치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 실질화폐수요는 이자율과 항상소득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자율 등은 실질화폐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아 화폐수요는 주로 항상소득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하였다.
이때 항상소득가설에 따라 항상소득은 일정하게 증가하므로 화폐수요 역시 안정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고전적 화폐수량설에서는 화폐의 자산으로서의 기능이 간과되었으나, 이점을 케인즈가 유동성선호설로써 지적하였고, 이러한 케인즈의 주장에 대해 다시 프리드만의 신화폐수량설에서는, 화폐수요를 자산에 대한 수요로 이해하여 자산구성의 최적화 측면에서 일반적 수요이론을 화폐수요 분석에 응용한 것이다.
케인즈학파의 화폐수요이론과 신화폐수량설은, 화폐수요가 명목국민소득에 비례하고 화폐 수요가 이자율과 국민소득의 함수라는 공통점을 갖지만,
케인즈학파는 화폐의 유통속도가 일정하지 않고 이자율의 감소함수라고 이해하였으나, 신화폐수량설은 화폐수요가 이자율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고 보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관점 차이는 케인즈학파로 하여금 소비함수가 화폐수요함수보다 더 안정적이어서 재정정책을 보다 중요시하도록 이끈 반면, 통화주의학파에는 화폐수요함수가 보다 안정적이어서 통화정책이 상대적으로 효과적이라고 주장하게 하였다.
'shoulders of giants > econ concep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 자본이동의 양태 (0) | 2009.09.28 |
---|---|
crowding effect (0) | 2009.09.24 |
화폐수요이론 - 토빈의 자산선택모형 (1) | 2009.09.10 |
화폐수요이론 - 보몰의 재고이론 (0) | 2009.09.10 |
화폐수요이론 - 케인즈의 유동성선호설 (0) | 2009.09.10 |
화폐수요이론 - 토빈의 자산선택모형
토빈은 각 경제주체가 효용을 극대화하는 자산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고 가정하고 이 선택이 화폐수요를 결정한다고 보았다.
이는 케인즈가 말한 세 가지 동기의 화폐수요 중에서 투기적 수요 부분에 대한 보완이라고 할 수 있다.
자산보유자는 각종 자산이 갖는 수익성과 안전성을 비교하여 여러가지 금융자산의 보유비율을 선택하는데 이에 따라 화폐를 얼마나 보유할지 결정하게 된다. 즉, 투기적 화폐수요는 이미 보유한 부에 대한 증가함수이고 (이미 자산이 꽤 있다면 위험을 추가로 부담할 수 있을테니까), 화폐 이외 자산들의 위험도에 대한 증가함수이며 (여타 자산들의 불확실성이 증대되면 화폐보유를 늘릴 것이므로), 이자율의 감소함수이다.
재고이론에서는 거래적 수요에 초점을 맞추면서 현금보유를 기회비용이 발생하는 일종의 투자유보 개념으로 보았으나,
자산선택모형에서는 화폐를 전체 포트폴리오 중 일부로 보아 경제 상황에 따른 자산배분 대상으로 이해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자산선택이론은 두 가지 중요한 특성이 있다.
우선, 채권 등 투자대상 자산들의 수익성과 위험을 동시에 고려하여 화폐수요의 결정요인을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현실에서 투자자들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과정을 잘 설명해준다.
그리고, 자산선택모형 이전의 화폐수요이론들에서는 이자율과 화폐수요가 역관계를 가지는데 반해, 자산선택모형에서는 다른 설명을 보인다. 즉, 이자율이 변할 때 대체효과와 소득효과의 관계에 따라 화폐수요가 증가 또는 감소한다고 봄으로써 화폐수요가 언제나 이자율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이는 화폐 역시 그것에 체화된 구매력의 가치에 따라 하나의 재화처럼 가격이 변한다는 점에서, 화폐의 본질적인 속성을 고려할 때 보다 적절하고 일반적인 결론이다.
'shoulders of giants > econ concep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owding effect (0) | 2009.09.24 |
---|---|
화폐수요이론 - 신화폐수량설 (0) | 2009.09.16 |
화폐수요이론 - 보몰의 재고이론 (0) | 2009.09.10 |
화폐수요이론 - 케인즈의 유동성선호설 (0) | 2009.09.10 |
demand-shift inflation (0) | 2009.09.09 |
화폐수요이론 - 보몰의 재고이론
케인즈는 거래적 예비적 투기적 동기의 화폐수요 중에서
거래적 동기의 화폐수요는 소득수준에 의해서만 결정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자율도 거래적 화폐수요에 영향을 준다.
이에 보몰과 토빈은 거래적 화폐수요가 소득과 이자율로부터 모두 영향을 받는다고 보아 케인즈의 화폐수요이론을 보완하였다.
즉, 화폐를 그 구매력에 대응하는 일종의 상품처럼 보아 화폐보유를 '재고'로 간주하고, 경제주체가 상황에 따라 현금과 여타 금융자산 간에 적정한 배분을 선택하여 화폐를 얼마나 보유할지 결정함으로써 화폐의 거래적 예비적 수요에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여기서 현금보유의 결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보유할 수 있는 자산의 종류가 현금과 금융자산 두 가지 존재한다고 할 때, 현금보유에는 기회비용이 발생하고 금융자산의 보유에는 거래비용이 발생할 것이다. 이때 두 비용의 합인 총비용을 극소화시키는 적정 보유비율이 존재하게 되고, 합리적인 경제주체라면 총비용을 극소화하려 할 것이므로 이에 따라 화폐의 보유수준을 결정한다.
즉, 케인즈의 거래적 화폐수요(거래목적을 위한 현금잔고)를 비용극소화 측면에서 미시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결국 재고이론에 따르면,
거래적 화폐수요는 명목소득의 증가함수이면서 이자율의 감소함수이고, 예비적 화폐수요 역시 소득의 증가함수이면서 이자율의 감소함수가 된다.
'shoulders of giants > econ concep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폐수요이론 - 신화폐수량설 (0) | 2009.09.16 |
---|---|
화폐수요이론 - 토빈의 자산선택모형 (1) | 2009.09.10 |
화폐수요이론 - 케인즈의 유동성선호설 (0) | 2009.09.10 |
demand-shift inflation (0) | 2009.09.09 |
화폐수요이론 - 중첩세대모형, 화폐수량설, 현금잔고수량설 (0) | 2009.09.08 |
화폐수요이론 - 케인즈의 유동성선호설
원래 유동성이란,
어떤 자산이 가치의 감소 없이
다른 자산, 특히 화폐와 교환될 수 있는 가능성의 정도를 말한다.
화폐는 구매력의 체화가 이미 사회적으로 합의되었다는 점에서
여러가지 자산 가운데 유동성이 단연 크다.
그래서 케인즈는 유동성을 화폐 자체로 보아 화폐수요를 유동성선호라고 표현하였다.
케인즈는 사람들이 유동성을 선호하는 동기를 거래적 동기, 예비적 동기, 투기적 동기로 구분하고, 이중에서 거래적 예비적 동기의 화폐수요는 명목소득이 화폐수요를 결정한다고 보았다. 즉, 거래적 예비적 동기의 화폐수요 M이 명목소득Y의 증가함수라는 점에서 고전학파의 견해와 유사하다.
그런데, 투기적 동기의 화폐수요는 이자율에 의해 좌우된다고 보아 M이 이자율r의 감소함수라고 하였다. 이 부분이 유동성선호이론의 핵심을 이룬다.
유동성선호이론을 경기변동에 연결시키면 고전학파와 케인즈의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난다.
경기가 상승할 때에는 화폐가치가 실물자산에 비해 낮아질 것이므로 투기적 동기의 화폐수요가 거의 없을 것이고, 따라서 호황시에는 화폐수요가 소득수준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경기하강시에는 화폐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데 이때 화폐에 대한 투기적 수요가 발생하고 이는 이자율에 큰 영향을 받는다. 만약 통화당국이 본원통화의 공급을 늘리더라도 투기적 수요가 확대되면 화폐공급이 투기적 화폐수요로 모두 흡수되고 만다. 이것이 바로 유동성함정이다.
이처럼 화폐공급이 투기적 수요로 흡수되면 통화확대정책이 시장이자율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되고, 결국 실물경기에도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된다.
'shoulders of giants > econ concep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폐수요이론 - 토빈의 자산선택모형 (1) | 2009.09.10 |
---|---|
화폐수요이론 - 보몰의 재고이론 (0) | 2009.09.10 |
demand-shift inflation (0) | 2009.09.09 |
화폐수요이론 - 중첩세대모형, 화폐수량설, 현금잔고수량설 (0) | 2009.09.08 |
거시 경제의 주요지표 (0) | 2009.09.08 |
demand-shift inflation
demand-shift 이론은 C.슐츠에 의해 제시된 것으로,
경제 전체에 초과수요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물가의 전반적 수준이 상승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각 산업부문 또는 재화부문별로
초과수요가 나타나는 부문에서는 가격이 상승하고,
공급과잉인 부문에서는 가격이 하락하는데
이때 초과공급 부문에서는 가격하락이 경직적으로 일어난다.
소위 '가격의 하방경직성'인데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가격결정구조나 산업구조와 관련하여 여러가지 요인이 있을 수 있다.
가령, LPG 수입가격이 변동할 때 유통구조가 독과점이어서
가격결정권이 소수 수입업체에게 집중되어 있다면,
국제LPG시장의 가격이 상승할 때에는 국내소비자가격에 바로 반영이 되겠지만
수입가격 하락시에는 소비자가격을 상대적으로 적게 내릴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과점 경향을 보이는 대다수 시장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경제 전체로 볼 때 총수요가 총공급을 초과하지 않고 유지되는 상황에서
수요가 증가하는 부문에서는 가격이 상승하고
수요가 감소하거나 공급과잉인 부문에서는 가격이 하락하면
전반적인 물가수준은 일정하게 유지될 것이다.
그런데 가격이 하락해야할 부문에서 하방경직성이 나타나
가격하락이 제한적으로 나타나면, 전반적인 물가수준이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경제 전체에 초과수요가 존재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
이를 demand-shift inflation이라고 한다.
demand shift 이론의 요점은,
가격이 초과수요에는 곧바로 반응하여 상승하지만
초과공급에 대해서는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하방경직성을 보인다는 비대칭성이
경제 전체의 물가수준을 상승시킨다는 것이다.
생산성상승률격차 인플레이션과 상당히 대비되는 개념이다.
'shoulders of giants > econ concep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폐수요이론 - 보몰의 재고이론 (0) | 2009.09.10 |
---|---|
화폐수요이론 - 케인즈의 유동성선호설 (0) | 2009.09.10 |
화폐수요이론 - 중첩세대모형, 화폐수량설, 현금잔고수량설 (0) | 2009.09.08 |
거시 경제의 주요지표 (0) | 2009.09.08 |
생산물시장의 국민소득균형 (0) | 2009.09.08 |
화폐수요이론 - 중첩세대모형, 화폐수량설, 현금잔고수량설
1. 중첩세대모형
화폐의 존재이유와 보유동기를 설명해주는 가장 기초적인 수요모형이다. 중첩세대모형은 교환이 발생하지 않는 자급자족경제를 가정하여 젊었을 대에는 소득으로 소비를 하고, 나이가 들면 소득이 없으므로 소비를 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모순은 재화가 저장불가능함을 전제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므로 젊었을 때의 소득을 일정한 매개체를 통해 저장할 수 있다면 이러한 모순을 없앨 수 있다. 이 저장기능을 하는 매개체가 바로 화폐이다.
2. 피셔의 교환방정식, 거래수량설 (고전학파)
흄, 스미스, 리카도 등의 의해 보편화된 화폐수량설은 실물부문과 화폐부문의 분리를 전제로, 화폐란 실물거래를 원활하게 하는 수단에 불과하다는 화폐베일관을 고수하였다. 피셔는 이를 거래수량설로 정형화시켰다. 여기서 제시된 것이 교환방정식 MV = PQ 이다.
피셔는 화폐의 지불관습 등 화폐유통과 관련된 여건들이 일정하기 때문에 화폐의 유통속도 V는 일정하다고 가정하였고, 완전고용수준의 생산량이 단기에 일정하고 완전고용생산량과 거래량Q 가 비례한다고 보아 Q 역시 단기에 일정하다고 가정하였다(쉽게 말하자면 단기에는 공급능력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거래량도 일정하다는 것).
따라서 교환방정식에 따르면, 통화량 증가가 물가상승으로 정비례 직결된다는 것이다.
3. 현금잔고수량설 (고전학파)
사람들은 명목국민소득 중 일정비율을 화폐로 보유한다(마샬의 k). 이 현금보유비율은 사회의 거래관습에 의해 결정되므로 단기적으로 일정하다. 따라서 화폐의 수요는 소득수준에 비례한다.
조금 자세히 살펴보면, 마샬은 M = PQ/V 로부터 M = kPy 또는 M = kY를 도출하는데(y는 실질소득, Y는 명목소득, 여기서 k는 화폐유통속도V의 역수이자 화폐의 소득속도...), 결론적으로 k와 y가 일정하다면 통화량 증가는 물가만 상승시키고, M = kPy에서 k가 일정하다면 실질화폐수요M/P는 실질소득y에 비례한다. 즉, 화폐수요와 소득수준 사이에 비례관계가 성립한다.
피셔의 거래수량설이 화폐량을 MV라는 유량 개념으로 이해하여 통화량과 전체 거래규모를 거시적으로 분석하였다면, 마샬의 현금잔고수량설은 자산 중 화폐를 얼마나 보유하는가..라는 미시적 분석을 토대로 화폐수요 요인을 명시하고 화폐량을 일정시점에서 보유한 현금잔고의 저량개념으로 이해했다는 점에서 대조적이다.
'shoulders of giants > econ concep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폐수요이론 - 케인즈의 유동성선호설 (0) | 2009.09.10 |
---|---|
demand-shift inflation (0) | 2009.09.09 |
거시 경제의 주요지표 (0) | 2009.09.08 |
생산물시장의 국민소득균형 (0) | 2009.09.08 |
생산물의 가치와 소득 (0) | 2009.09.08 |